(분산투자를 통해 다양한 곳에서 싹을 틔운다)
안녕하세요. '기적의 100일 코인투자학습' 강의를 맡은 인천 쿨가이입니다.
암호화폐를 투자하고자 한다면 코인 자체가 주식에 비해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. 코인이 무엇인지 종류도 많고 뭘 사야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.
이에 코인투자를 100일동안 어떻게 해야 하는지 초보자의 시선에서 차근차근 설명하고자 합니다.
암호화폐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큽니다. 반면, 주식, 채권, 부동산 같은 전통 자산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, 수익률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해 분산 투자를 통해 서로 다른 자산 간의 위험과 수익을
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오늘은 암호화폐와 전통 자산을 어떻게 조합하여 분산 투자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분산 투자란 무엇인가?
분산투자는 여러 자산에 투자하여 리스크를 줄이고,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. 투자 자산이 한 종류에 집중되지 않고, 주식, 채권, 부동산, 암호화폐 등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되면 특정 자산군의 손실을 다른 자산이 상쇄할 수 있습니다.
분산 투자의 장점은 첫 번째로 리스크 분산이 있습니다. 한 자산군의 변동성에 의해 전체 포트폴리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수익 기회 확대: 여러 자산군에 투자함으로써 다양한 시장에서 수익을 창출할 기회를 높일 수 있습니다.
또한, 심리적 안정감을 듭니다.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와 변동성이 적은 전통 자산을 조합하여 투자하면, 극단적인 시장 변동에도 심리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. 한마디로 정신적으로 흔들리지 않는거죠. 일희일비해서 뇌동매매를 예방할 수 있
습니다.
"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"는 말은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. 이 말은 분산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으로, 하나의 자산에 모든 돈을 투자하는 대신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함으로써 위험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이자는 뜻입니다.
이렇게 분산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한 바구니에 계란을 모두 담으면, 그 바구니를 떨어뜨렸을 때 모든 계란이 깨질 위험이 큽니다. 이처럼, 하나의 자산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면, 그 자산이 손실을 입을 때 전체 자산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전 재산을 한 종목의 주식에만 투자했을 때, 그 기업의 실적이 악화되거나 주가가 하락하면 큰 손실을 입게 됩니다.
암호화폐 투자에서도 마찬가지로, 특정 코인에 모든 자산을 투자했다가 그 코인의 가치가 급락하면 자산을 한꺼번에 잃을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상호 보완작용을 노리고자 분산투자를 합니다. 모든 자산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
에, 여러 자산에 투자하면 시장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주식이 하락하는 동안 채권이나 금 같은 자산은 상승하거나 상대적으로 안정된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.
이처럼 자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손실을 상쇄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주식 시장이 하락하는 시기에도, 안정적인 채권이나 부동산에서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. 반대로, 암호화폐가 급등할 때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, 하락 시에도 다른 자산이 포트폴리오의 방어 역할을 합니다.
포트폴리오 안정성 증가 분산 투자를 하면 한 자산의 부진이 다른 자산의 수익으로 보완될 수 있어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안정성이 증가합니다. 암호화폐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에만 투자하는 것보다 주식, 채권,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을 혼합하면
수익과 안정성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 시장은 예측할 수 없는 요소로 인해 불확실성이 큽니다. 특정 자산이 언제 어떻게 변화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.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면, 시장 예측의 어려움에서 오는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최근에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,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 등 경제 위기나 정치적 사건이 특정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때, 다른 자산군에 투자한 포트폴리오는 비교적 안전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암호화폐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은 다른 자산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줘야 흔들리지 않고 목표를 향해 나갈 수 있습니다. 투자 결정에 있어 감정적 판단을 최소화하고, 장기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2. 분산투자의 한계
(코로나 19가 터지자 모든 자산은 급격히 하락했다.)
분산 투자도 모든 위험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합니다.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. 가장 큰 예는 2008년 리먼브라더스때와 2019년 코로나 19 팬데믹 초기가 대표적입니다. 이런 전세계적인 위기일때 모든 자산은 급락합니다.
아무리 자산군을 분산했더라도, 전체 시장이 하락할 때는 모든 자산이 동시에 하락할 수 있습니다. 전 세계 금융 시장이 모두 하락할 때는 분산 투자로도 큰 손실을 막기 어렵습니다. 두 번째는 과도한 분산으로 인한 수익률 저하입니다.
분산을 너무 과도하게 하면 수익률이 지나치게 분산되어, 최대 수익을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 너무 많은 자산에 분산 투자하면 각 자산의 개별 성과가 전체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.
정리하자면 "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"는 분산 투자를 강조하는 이유는 리스크 관리와 안정적인 수익을 위한 전략입니다.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하면, 하나의 자산이 부진하더라도 다른 자산이 이를 상쇄할 수 있고, 전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
이 높아집니다. 그러나 분산이 지나치면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으니, 적절한 균형이 필요합니다.
[0]
[0]
[0]
[1]
[0]
[0]
[0]
[0]
[0]
[0]
[0]
[1]